건강, 우리의 소중한 보물입니다.

여러분의 건강주치의로 늘 곁에 있겠습니다.

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8:30 - 18:00
  • 수요일 08:30 - 12:30
  • 토요일 08:30 - 13:00
  • 점심시간 12:30 - 14:00

062-946-0500

커뮤니티


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칼럼

제목

비 오면?무릎?쑤시는?건,?나이 탓?...?사실은?'이것'이?원인


건강 관리를 위해 운동 시간을 늘리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마음먹고 운동하려는데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자주 '뚝!' 소리가 나면서 크고 작은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단순히 나이가 들어 그렇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최근 러닝, 테니스 등 무릎에 부담이 가해지는 운동이 유행하면서, 젊은 층에서도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통증과 함께 무릎이 불안정한 느낌을 받거나, 붓는 경우 '반월판 연골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주로 나이가 들며 퇴행성으로 발생하지만, 스포츠 활동이 잦거나 외상이 있는 젊은 층의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정형외과 박용범 교수(중앙대광명병원) 도움말로 반월판 연골 손상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반월판 연골 손상, 무릎 관절의 방석이자 안전벨트가 손상된 것
'반월판 연골 손상'은 질환명 그대로 무릎에 있는 반월판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등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반월판은 무릎 관절 안에 있는 섬유 연골로, 내측반월판과 외측반월판이 있다.

반월판은 걷거나 뛸 때 무릎에 가해지는 체중의 부담을 줄여주는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고, 특정 부위에만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중을 분산해 관절 연골의 손상을 막기도 한다. 또 무릎 관절 좌우에서 감싸듯이 관절을 잡아주어 무릎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박용범 교수는 "반월판은 무릎 관절의 '방석'이자 '안전벨트'같은 존재다"라고 설명했다.

이런 반월판이 손상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손상의 정도나 파열의 양상에 따라 증상도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은 무릎이 붓고, 통증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박 교수는 "방향을 바꾸거나 쪼그려 앉았다 일어설 때 통증이 심해지거나, 갑자기 무릎이 펴지지도 구부려지지도 않는 '관절 잠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특히 체중을 실을 때 무릎이 빠지는 듯한 느낌이 반복되면 반월판 연골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퇴행성 손상과 외상성 손상… 외상성 손상은 통증 극심
반월판 연골 손상의 주 발생 원인은 '퇴행성 손상'이다. 즉, 나이가 들면서 반월판이 점차 약해지고, 반복되는 하중을 버티다가 손상되는 것이다. 박용범 교수는 "이런 퇴행성 파열의 경우 오랜 기간 서서히 발생하기 때문에 방향 전환이나 쪼그려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 관절의 내측 부위에 불편함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외상성 손상'도 반월판 손상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다. 주로 스포츠 활동 중 무릎을 갑자기 비틀거나 급격한 방향 전환이 필요한 활동을 할 때 많이 발생한다. 박 교수는 "축구, 농구, 스키, 등산 같은 고강도 운동을 할 때 특히 많이 발생한다"며, "반월판이 외상에 의해 파열됐을 때는 관절 내에 피가 차는 '혈관절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손상 후 심한 통증과 무릎 부종이 동반되고 일상적인 보행에도 지장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퇴행성은 비수술 치료, 외상성은 수술 치료… 반월판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핵심
반월판 연골 손상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을 듣는 것에서 시작한다. 특히 외상에 의해 발생한 경우 어떻게 외상이 발생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이후에는 누워서 무릎 관절을 90도로 굽힌 후 발을 잡고 무릎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려가며 통증을 확인하는 '맥머레이 검사' 등의 신체 검진을 통해 손상 여부를 추정한다.

신체 검진을 통해 반월판 연골 손상이 강하게 의심되는 경우에는 '자기공명영상(MRI)'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박용범 교수는 "단순 방사선 사진(X-ray)로 뼈 상태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반월판은 검진하기 어렵다. MRI 검사로 손상 위치와 정도, 동반된 손상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치료는 반월판 손상의 정도와 위치, 환자의 나이와 활동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진다. 퇴행성 파열이거나 무릎 통증, 잠김 등의 기계적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비수술 치료가 원칙이다. 소염진통제 복용과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을 함께 시행하면 무릎의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외상성 손상(파열)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원칙이다. 수술 방법도 다양한데, 수술 방법을 결정할 때도 개인의 반월판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을 우선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가능한 경우 '봉합술'을 통해 손상된 부분을 꿰매어 최대한 보존하는 수술 기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손상된 반월판의 봉합이 여의치 않을 때는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손상된 부분을 절제하는 '절제술'을 사용한다. 이런 손상이 너무 심해 반월판을 완전히 절제해야 될 경우, 기증된 반월판을 이식하는 '이식술'이 활용되기도 한다.

쪼그려 앉기·무리한 점프 동작 피해야... 가장 중요한 것은 '체중 관리'
반월판 연골 손상의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체중 관리'다. 체중이 늘어나면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반월판 연골 손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또 스쾃, 런지 등 허벅지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허벅지 근력이 강해지면 무릎의 안정성도 높아져서 반월판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이외에도 박용범 교수는 "쪼그려 앉기, 무릎 꿇기, 무리한 점프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피하고,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팩트진찰대] 도가니 먹으면 무릎에 도움? 비올 때 무릎 쑤시는 이유는?
무릎은 통증이 한번 발생하면 일상에 많은 지장을 주고, 삶의 질을 많이 떨어뜨리게 된다. 그래서 이와 관련한 속설들도 많다. 족발, 도가니탕 등 콜라겐 많은 음식이 무릎 건강에 좋다는 말, 비 오는 날에는 무릎이 쑤신다는 말 등이다.

1. 콜라겐 함유 음식, 무릎에 도움 될까?
콜라겐이 많이 함유된 음식 자체가 반월판 건강에 직접적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다. 박용범 교수는 "콜라겐은 소화 과정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단백질 합성에 쓰이기 때문에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반월판의 순우리말이 '도가니'이기 때문에 튼튼한 소의 도가니를 섭취하면 무릎 건강이 좋아질 거란 기대에서 나온 속설로 추정해 볼 수 있다.

2. 비 오는 날 무릎 쑤시는 이유는?
비 오는 날 무릎이 쑤신다는 말은 의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말이다. 박 교수는 "비가 오기 전 기압이 낮아지면 관절 주변 조직이 부풀면서 신경을 자극할 수 있고, 특히 반월판 연골 손상이나 관절염이 있는 환자는 이 변화에 더 민감할 수 있다"며 "단순한 속설이 아닌 의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현상이다"고 말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